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2026년 최저임금 정리] 시급 10,320원, 월급은 얼마일까?

by 나퓨 2025. 7. 18.

2026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.9% 오른 시간당 10,32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.
이번 결정은 2008년 이후 17년 만에 근로자·사용자·공익위원이 모두 참여한 합의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가집니다.

하지만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건, “그럼 내 월급은 얼마나 오르는 거야?” “사장님 입장에서는 뭘 준비해야 하지?” 라는 실용적인 부분일 것입니다. 지금부터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.

 

2026년 최저임금, 얼마나 오르나?

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,030원이었습니다. 여기에 2.9%가 인상된 10,320원이 2026년 최저임금으로 확정된 것입니다.
단순히 290원이 오르는 것처럼 보이지만, 월 단위로 환산하면 생각보다 체감 차이가 큽니다.

 

 

📌 월 기준 약 62,300원 인상, 연간 기준으로는 약 75만 원 이상 인상 효과가 있습니다.

2026년 최저임금, 얼마나 오르나?

 

 

최저임금위원회 보도자료 확인하기

 

최근 4년간 최저임금 인상률 추이 

연도 최저임금(원) 인상률(%)
2023 9,620 +5.0%
2024 9,860 +2.5%
2025 10,030 +1.7%
2026 10,320 +2.9%

 

최근 4년간 인상률은 5.0% → 2.5% → 1.7% → 2.9%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,
2026년 인상률은 2025년보다 반등한 수치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

 

사업주가 반드시 체크해야 할 실무사항

최저임금 인상은 근로자에게는 반가운 소식일 수 있지만,
소상공인·자영업자·인사 담당자 입장에서는 반드시 체크해야 할 실무 포인트가 많습니다.

아래는 2026년 최저임금 적용에 앞서 사장님들이 꼭 확인하셔야 할 항목입니다.

① 근로계약서 시급 확인

  • 기존 계약서에 명시된 시급이 10,320원 미만이라면 계약 갱신 필요
  • 시급이 아니라 월급으로 표기된 경우, 주휴수당 포함하여 시급 환산 기준을 다시 계산해야 함

② 주휴수당 포함 여부 점검

  •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에게는 주휴수당 지급 의무
  • 기본 시급 10,320원 × (209시간 + 주휴시간) 계산 방식 고려 필요

③ 인건비 관련 추가 비용 확인

  • 최저임금 인상 시, 사업주의 전체 인건비 구조도 함께 달라집니다.
  • 급여 상승에 따라 법정 기준에 맞춘 각종 인건비 항목이 함께 증가할 수 있습니다.
  • 직원 수가 많을수록 총비용 차이도 커질 수 있으므로, 미리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.

④ 월급제 적용 시 혼동 방지

  • 월급제 직원에게도 실제 최저시급 이상 지급하고 있는지 확인
  • 수습 기간 감액 적용 시(최대 90일간 90%까지 가능) 여부 명확하게 표시

⑤ 급여 명세서 발급

  • 2021년 11월부터 의무화된 급여명세서 제공 의무를 지키지 않으면 과태료 부과 대상
  • 시급 인상 후, 급여 내역이 정확하게 반영되었는지 확인 필요

 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수습 직원은 최저임금보다 적게 줘도 되나요?

A. 가능하긴 하나, 수습 기간은 3개월 이내만 허용되며, 이때는 최저임금의 90% 이상 지급해야 합니다.
즉, 9,288원(10,320원 × 90%) 이하 지급은 위법입니다.

Q2. 알바에게 주휴수당을 꼭 줘야 하나요?

A. 주 15시간 이상, 소정 근로일을 성실히 이행했다면 무조건 지급해야 합니다.
10,320원 기준 주 5일 × 4시간 근무자라면 매주 4시간치 주휴수당을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.

Q3. 월급으로 줄 땐 얼마 이상이면 문제 없나요?

A. 시급 기준으로 10,320원 × 월 209시간 = 2,157,000원 이상 지급하면 문제없습니다.
하지만 주휴수당·연차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실제 환산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.

 

 

시급 계산기로 내 급여 직접 확인하기

최저임금이 10,320원으로 인상되었지만,
실제 본인의 근무시간에 따라 실수령 월급은 모두 다릅니다.

예를 들어,
주 3일 × 하루 6시간 근무 시 → 주 18시간 → 주휴수당 없음 → 월 약 742,000원
주 5일 × 하루 8시간 근무 시 → 주 40시간 + 주휴수당 적용 → 월 약 2,157,000원

이처럼 근무일수와 시간, 주휴 적용 여부에 따라 지급액은 크게 달라지므로,

‘최저임금 계산기’ 또는 ‘시급 월급 환산기’를 통해 본인의 급여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📌다음에서  ‘최저임금 계산기’ 또는 ‘월급 계산기’ 검색 시 무료 도구 이용 가능

 

월급 계산기 – Daum 검색

Daum 검색에서 월급 계산기에 대한 최신정보를 찾아보세요.

search.daum.net

 

 

2026년 최저임금 인상은 단순한 숫자의 변화 그 이상입니다.
노동자의 생활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선이자, 경제와 사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조율점입니다.
앞으로도 이와 관련된 변화가 이어질 것이며, 최저임금 논의는 우리 사회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척도로 작용할 것입니다.